대다수 국민 인식부족 부터 개선 관리체계 등 정책적 배려 필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심부전 사망자. 하지만 심부전에 대한 일반인, 정부, 해당의료분야를 제외한 의료인들의 인식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여서 무방비상태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 이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심장학회 심부전연구회가 2월 24일 국회도서관에서 주최한 심부전 관리체계 대책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가천의대 심장내과 정욱진 교수는 "고령화와 함께 빠르게 증가하는 심부전의 사회적 차원의 대비를 위해서는 정부의 4대 중증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관리 종합대책에서 심부전을 최우선 과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날 토론회를 축하 하러온 일부 정계인사들과 해당 전문분야가 아닌 인사들은 심부전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얼마나 심각한 질병인지 등 이 질병에 대한 명확한 정체를 알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거의 대부분의 일반국민들이 잘 알지 못한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국가만이 아니라 의・민・관이 심부전에 대한 인식 고취와 관리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며 일반인에게 심부전 증상, 치료 등에 대한 인식증진 및 심부전 관리에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고령층 및 환자를 대상으로 홍보 및 교육활동의 강화와 함께 인구 거점별 심부전 관리 선도센터도 지정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보다 앞서 성균관대약대 이의경 교수는 심부전의 전체 의료비 대비 본인부담률은 외래와 입원 각각 48%와 35%로 높은 편으로 60% 이상이 65세 이상인 고령층이어서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또 연세대병원 등 모두 6곳이 진료한 심부전환자 500명을 대상으로 급여 및 비급여 비용 조사연구에 따르면 1인당 연평균 의료비는 급성심부전 853만원, 만성심부전은 92만원이며 입원 1회 당 평균 의료비도 각각 720만원과 402만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건강보험청구 데이터 분석에서도 심부전환자 1인당 연간 의료비는 221만원으로 전체 연간의료비(548만원)의 40%에 이르며 입원 1회 당 의료비는 331만원으로 전체 의료비(504만원)의 약 66%에 이른다고 했다.

특히 사망 직전에는 의료 부담이 최고조에 달하며 사망 직전 3개월 이내 의료비는 약 1,000만원, 사망 전 1년 이내 의료비는 약 2,000만원에 달한다고 사회적인 부담을 지적했다.

서울대병원 최동주 교수는 "말기 심부전의 1년 사망률은 50% 이상"이며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생존해 심부전으로 진행하는 환자도 늘어나 인공심장이나 심장이식 등 고비용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강민규 과장은 오는 5월말부터 시행되는 ‘심뇌혈관잘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심부전에 관한 명료한 대책이 명문화돼 있지 않다며 정부도 심부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이 법률 하위법규정 제정시 5년마다 수립하도록 돼있는 종합대책에서 심부전의 특성을 살린 대책이 포함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