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박사 연구개발직 채용 증가 타 산업 압도

전반적인 국내 고용시장이 악학화되는 있는데도 불구하고 제약업계 종사자가 1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년 연구개발직 채용이 증가하고 있어 제약산업은 단순 일자리 확대에서 탈피해 고용의 질적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약협회가 27일 발표한 제약업계 고용현황에 따르면 제약업계 종사자수는 2016년 9만 4,929명으로 2011년 7만 4,477명 보다 27.5% 증가했다. 이는 5년 만에 2만 여명이 늘어난 것으로 단순 셈법으로 5년간 매해 4,000명 이상 신규 인력을 고용한 것이다.

또한 제약산업에 종사하는 연구직은 2016년 1만 1,862명으로 2011년(8,765명) 대비 3,000여명이 늘고 2016년 한해에만 800여명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제약업계로 석‧박사급 전문 인력 유입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2014년 발표한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산업 전체 연구인력 가운데 석‧박사 비중은 32.5%, 제조업은 33.7%로 나타났다.

반면 제약산업이 중심인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업종에 채용된 연구인력 가운데 석‧박사 비중은 71.7%로, 산업 전체(32.5%)는 물론 제약산업 업종이 포함된 제조업 평균(33.7%)치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생산직 고용도 확대되고 있다. 제약업계 생산직 종사자는 2011년 31.6%(2만 3,539명)에서 2016년 33.8%(3만 2,104명)로 증가, 현재 제약산업 직군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년 전과 비교해보면 사무직과 영업직 종사자 수는 늘었지만 생산직과 비교할 때 비중은 감소했다.

사무직은 2011년 19.4%에서 2016년 18.5%로, 영업직은 2011년 32.9%에서 2016년 27.8%로 축소됐다.

부문별 비중을 보면 연구직과 생산직이 증가세를 보인 반면 사무직과 영업직은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제약기업들이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연구개발과 품질관리 향상에 주력한 결과로 풀이된다.

향후 고용 전망도 밝다.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취업자 전망 보고서(2016년)에 따르면 23개에 달하는 전체 제조업 가운데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취업자 증가율(2014-2024, 2.6%)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전체 제조업 평균(0.8%) 3배를 초과하는 수준이다.

한편 과학기술평가원은 2016년 12월 발표한 한국경제 지속 성장을 위한 바이오·헬스산업 진단과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성장하기 위해 주력산업 위기극복과 함께 제조업 경쟁력 회복, 바이오헬스산업과 바이오 기반 융합 신산업 성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미국 생명과학 산업은 7만 7000개 사업체에 걸쳐 166만개 고용 창출을 이뤘다"면서 "생명과학 혁신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