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팀, 혈액형부적합 이식 보편화 생존율 등 성적도 양호

양철우 교수 정병하 교수

핵가족화가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이 활성화되면서 그간의 형제자매 이식보다 부부간 부적합이식이 크게 늘고 있고 그 성적도 적합이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정병하 교수팀은 우리나라 신장이식 환자 데이터 베이스(KOTRY) 및 보건복지부 장기이식관리센터 KONOS 자료를 이용해 혈액형 부적합이식이 시행된 2007년부터 2014년까지 7년간 3,035건의 생체신장이식을 조사, 부부이식의 증가율과 혈액형 적합·부적합 부부이식의 이식성적을 비교했다.

이 결과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도입한 2007년에는 0.3%였으나, 2014년에 21.7%로 증가했으며 부부이식은 2003년 전체 생체신장이식의 10%였으나 부적합 이식이후 매년 급속도로 증가해 2014년 31.5%에 이르고 있다.

부부이식은 비혈연간 신장이식 중 가장 높은 77.6%의 빈도를 보였으며, 이중 혈액형 부적합이식비율은 20.9%였다. 이는 혈연간 혈액형 부적합이식 9.8%보다 두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5건의 부부이식 중 1건은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는 다는 것을 의미하며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도입된 이후 부부이식이 다른 생체이식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했음을 반영한다.

또한 혈액형 부적합 부부이식의 주요 성적을 적합 부부이식과 비교한 결과, 급성거부반응 발생률이 23.9% vs. 15.8%, 이식신장 3년 생존율은 96.4% vs. 96.7%, 이식 환자 3년 생존율은 95.7 vs. 98.2%로 모두 별 차이가 없이 우수했다..

만성 콩팥병 환자는 고령자의 증가와 함께 급격히 늘고 있다. 우리나라 건강보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8만3,000명이던 환자는 7년 만인 2015년 배가 넘는 17만2,000명으로 늘어 당뇨, 암, 심잘질환 등 다른 만성질환보다 가장 큰 증가세를 나타냈다.

양철우 교수는 “부부간 혈액형 부적합이식은 조직형과 혈액형의 두가지 부적합을 극복해야하는 이식술이지만 이제는 보편화돼 자리를 잡았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이식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음을 학문적으로 입증했다”고 이번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이번 임상연구결과는 SCI 논문인 PLOS ONE 3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