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태 암정복기획단장, 고가 항암제 따른 財政毒性 방지위해 제안

항암신약의 고가로 인한 재정독성 방지를 위한 방안모색을 위한 제62회 암정복 포럼

가정 경제를 파탄에 이르게 할 정도의 고가 항암신약 가격을 낮추기 위해 '의약품 가격 투명성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김흥태 국립암센터·암정복추진기획단장은 6월 28일 국립암센터가 주최한 '고가 항암신약의 재정 독성(財政毒性) 해결방안' 주제 제62회 암 정복 포럼에서 항암제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원인과 고가 항암제로 인한 문제점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김 단장은 항암신약의 연간 평균 지급비용은 세계 평균 10만 달러(약 1억1천400만원)로 이로 인해 개인이 파산 하는 경우가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고가의 항암제로 인해 환자가 겪는 재정문제가 항암제의 물리적 독성과 같은 독성을 지니게 된다는 뜻으로 '재정 독성'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났다고 했다.

김 단장은 항암 신약의 출시가격은 매년 증가해 1인당 국민소득을 고려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구매할 수 없을 정도라며 제약산업의 이익 마진율은 계속 늘고 있는 반면 항암신약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 수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따라서 그는 항암신약을 만들 때 소요되는 연구개발비·제조비·마케팅비 등을 공개해 적정 약값을 책정하게 하는 목적의 '의약품 가격 투명성법'을 제안했다.

김 단장은 "제약사들이 항암제가 비싼 이유로 주로 연구개발비를 들고 있지만 비용과 약물 효과의 적정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필요하다"며 "평가 결과를 토대로 정부가 저비용·고가치 치료에 쓰이는 항암제에 우선으로 보험적용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반적으로 복제약은 오리지널약보다 80%이상 저렴하다는 점을 지적, 제네릭·바이오시밀러와 같은 복제약의 허가를 신속하게 승인, 환자들의 가격에 대한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 단장은 "제약사들은 항암제 가격을 낮춰야 할 일차적인 책임을 갖고 있다"며 "'효과가 있는 유일한 약은 환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약'이란 말이 있듯이 암 환자가 부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항암신약 가격이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