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팀, 키틴분해효소 유사 인간단백질 항암기전 규명

인체 T세포의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의 기능을 규명,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면역치료 물질이 개발된다. 한양대 생명과학과 최제민 교수 연구팀은 식물의 키틴분해효소와 유사한 인간의 단백질을 표적으로,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항암치료 방법을 제시해 이 분야의 활성화가 전망된다.

기존 항암제가 암 세포의 직접적 사멸을 목표로 하는 것과 달리, 최근 대두되는 항암면역치료는 암에 대한 스스로의 면역 능력을 증가시키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항암제의 부작용과 암의 재발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식물이 병충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1차적 방어물질인 키틴분해효소에 주목하고, 유전적으로 보존돼 있는 인간 단백질(Chi3l1)의 면역체계에서 Chi3l1은 키틴 분해 능력은 잃었지만, 암에 대한 T세포의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Chi3l1 유전자가 결핍된 T세포는 도움T세포(Th1) 및 세포독성 림프구(CTL)로의 분화가 증가돼 분화 후 인터페론감마(IFNγ)의 발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세포의 면역반응이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Chi3l1 유전자에 결합해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표적 치료물질(펩타이드―siRNA 중합체)을 개발해 흑색종이 폐로 전이되는 생쥐실험에서, 암세포의 폐 전이를 획기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입증했다.

최제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다양한 종에서 진화적으로 보존된 키틴분해효소 유사 단백질이 인간의 면역조절 기능이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표적으로 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최 교수는 이처럼 다른 생물종의 1차적 방어물질이 우리 면역체계에서 어떻게 역할하는가를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기대된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