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제 무균조제 가이드라인 발간…항암제·TPN 등 조제 환경 기준 제시

현직 약사들이 힘을 모아 주사제 무균조제 가이드라인을 발간해 화제다.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조윤숙 위원장

한국병원약사회는 5일 서울대병원 약제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주사제 무균조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며, “가이드라인 마련을 시작으로 병원 약사들의 업무 표준화를 정립하는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에는 항암제, 고영양수액제(TPN), 특수 상황의 생물학적제제 항균제와 고농도 전해질, 취급자주의 의약품 등 4가지 주사조제약을 어떤 환경에서 만들어야 하는지 기준을 제시했다.

특히, 무균조제실 및 전실, 무균조제대 기준, 무균조제 환경 및 시설 관리, 개인보호구, 무균조제대 사용 방법, 조제약 관리, 조제 후 사용가능 시간, 검증 등을 체계적으로 담았다.

가이드라인 제작에 참여한 김혜린 삼육대약대 교수는 “최근 주사제 감염으로 인한 의료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어느 때보다 안전한 주사제 무균조제의 중요성이 강조됐다”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주사제 무균조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본격적인 발간 작업에 착수해 가이드라인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제작된 지침은 시작일 뿐 앞으로 제도나 장비 등 상황이 변하는 대로 반영해 함께 성장하는 콘텐츠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0년 식약처가 주사제 안전사용 가이드라인을 제작 배포했지만 내용이 부실해 의료기관에게 감염관리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한 병원약사회는 식약처 주사제 안전사용 가이드라인과 질병관리본부의 의료감염관련 표준예방지침을 바탕으로 외국의 무균조제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추가해 많은 의료기관이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조윤숙 한국병원약사회 표준화위원회 위원장은 “일본과 미국, 핀란드, 싱가포르 등 의료기관의 무균조제 현장을 방문해 이들이 사용하는 기준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국내 현실에 맞게 조율했다”며, “선진화된 제조기준을 바탕으로 국내 상황과 실정에 맞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조윤숙 위원장은 이번 가이드라인이 향후 병원 평가시 규제 항목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조 위원장은 “가이드라인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지 당장 병원 평가의 인증 기준이 될 수는 없다”면서, “현실적으로 가이드라인대로 따를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돼 모든 병원에서 적용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조 위원장에 따르면 항암제 무균주사 조제료는 4,000원이지만, 조제시 사용하는 개인보호구 원가는 1인당 1만 5,000원이다.

조 위원장은 “지속적으로 들어가는 소모품을 감안했을 때 항암제 무균주사 조제료는 원가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면서, “이번 가이드라인 제작 배포를 계기로 제조원가를 분석해 정책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양숙 질향상이사도 “지금까지 병원약사들을 위한 업무 표준화 체계를 갖추는 일이 부족했다”며, “이번 가이드라인 제작을 계기로 병원약사들이 업무효율성을 증대시켜 환자와의 대면 상담 서비스 등 환자에게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