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ECD 보건통계 ‘한 눈에 보는 건강’ 보건의료 통계지표

- 지난 10년 간 병원의약품 7.9%, 소매의약품 4.2% 소비율 증가

▲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나라 국민이 내는 약제비 환자본인부담 비율이 OECD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한 눈에 보는 건강(Health at a Glance)’ 보고서를 발표했다.

여기에 수록된 보건의료 관련 주요 통계(지표) 중 의약품과 관련한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약제비는 국가 부담 및 민간보험을 제외한 환자 본인부담 비율이 OECD 평균인 39%보다 높은 45%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프랑스(13%)와 독일(16%)의 경우 가계가 약제비를 직접 부담하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는 러시아(88%)와 리투아니아(66%)였다.

 

▲ 의약품 구매비용 구성

개인별 소매의약품 구매를 위한 지출비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599달러, 한화 약 73만원으로, OECD 평균인 564달러(약69만원)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반면, 미국은 평균치의 두 배를 웃돌았으며, 멕시코와 코스타리카는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목할 점은 지난 10년간 병원과 약국에서의 의약품 소비규모.

여기서 우리나라의 소비증가율은 가장 눈에 띄게 증가했다. 실제로 한국은 병원의약품과 소매의약품 소비 모두 7.9%, 4.2%로 증가세를 보였다.

 

▲ 소매약국과 병원의 의약품 소비 증가율의 연평균(2008~2017년 또는 가장 최근 연도)

이어 아이슬란드(5.4%), 덴마크와 체코(4.9%)가 병원의약품 소비 증가율에 있어 뒤를 이었다. 반면, 그리스는 의약품 폐기 감소 정책의 영향으로 소매의약품 지출이 최근 10년간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처방의약품과 일반의약품에 대한 국가별 수요 변화는 고령화 및 만성질환 유병률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국가별 오리지널 의약품과 제네릭의 사용 추이, 의약품 가격과 조달 정책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0년 7월 의약분업제도를 전격 시행한 만큼, 약제비 증가와 관련한 요인들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실제로 약사와 약국 관련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2000년에서 2017년 사이에 활동한 OECD 평균 약사 수는 인구 10만 명당 83명으로 33% 증가했다.

이 중 우리나라 약사 수는 인구 10만 명당 72명으로 OECD 평균보다 낮은 중하위권에 속하지만, 약국 수는 인구 10만 명당 41개(2015년 기준)로 OECD 평균인 29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정책연구소 박혜경 소장은 “이번 OECD 통계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의 약국 인력시스템으로는 주요 외국과 같이 조제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의 복약순응도 지원 및 건강증진 활동 등과 같은 지역사회 기반 약사 서비스 확대에 있어서 제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OECD는 2017년을 기준으로 작성·발표된 이번 자료를 발간하면서 회원국들이 금융위기 이후에 보건의료체계를 더욱 생산적이고, 효율적이며, 감당할 만한 수준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