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용철순 교수, 제네릭 처방 미국 90% 국내 20% 지적

국내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제네릭 의약품의 신뢰도 개선과 함께 정부의 약가지원정책이 뒷받침되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6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오제세 의원이 주최한 ‘의약품 산업 발전을 위한 우리약살리기’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 용철순 영남대 약학대학 교수

첫 발제자로 나선 용철순 영남대 약학대학 교수는 ‘국산 제네릭 의약품의 동등성 효과에 대한 고찰’에 대해 발표하며 제네릭 의약품의 신뢰도 개선과 함께 약가결정 및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용철순 교수는 “의료비는 노령인구의 증가와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인해 전체적으로 증가추세이지만 제약산업은 신약개발의 감소와 함께 특허 만료시점이 도래하면서 제약사별로 살아남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용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제약사들은 제네릭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2016년 R&D 개발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은 자국민에게 처방되는 약들 중 90%를 제네릭의약품으로 처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신약개발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제네릭의약품의 사용량은 약 20%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용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도 제네릭의약품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용 교수는 우선적으로 제네릭의약품에 대한 생동성시험 신뢰도 개선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생동성시험에 대한 신뢰도가 개선되면 자연적으로 의사들의 제네릭의약품에 대한 처방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본 것이다.

이와 함께 제네릭에 대한 약가조정을 통해 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 이병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관리실장

두 번째 발제자로 나온 이병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관리실장은 제네릭 제품 개발 및 기업의 특화 경영과 함께 정부의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우대정책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수입·생산 의약품 청구현황에 따르면 국내제조는 61%이며 그중 국내사는 60.4%, 다국적사는 0.6%를 차지하고 있다.

이병일 실장은 “이런 상황은 국내제약산업의 성장이 국민건강권 확보의 기반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실장은 “제네릭 제품은 제품 개발의 실패 위험이 적고 개발 비용이 낮아 생산설비 등을 확보해 수익을 내는 구조이지만 제네릭 품목수의 증가는 한 회사당 얻는 순익을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지금까지 블록버스터 제품의 동일제제 생산을 통한 수익에 초점을 맞췄다면 향후에는 새로운 용법·용량 및 제형이나 개량생물의약품 등으로 보다 고부가가치 의약품 개발로 시장점유를 확보하고 지속가능경영의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실장은 “차별화된 약제에 대한 정책 지원을 위해 기존 신약 개선 및 개량을 통해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 그 가치를 인정하는 기준마련이 필요하다”며 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우대정책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실장은 “경쟁 약제와의 차별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와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선택 기회의 제공은 제네릭 사용자의 처방 변화를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