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보건대학원-KMI 한국의학연구소, 대규모 추적 코호트 연구 결과 발표
비흡연자 대비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1.37배 높아

담배를 오래, 많이 피울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흡연자 대비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1.3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

연세대 보건대학원 국민건강증진연구소와 KMI 한국의학연구소(이사장 김순이)는 장기간 추적한 대규모(8만 8,000여 명) 코호트 역학 공동연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연구에 참여한 KMI 한국의학연구소 검진자 중 2013년까지 추적된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 총인원은 검진자 21만 2,914명 중 8만 8,299명(남성 5만 7,187명, 여성 3만 1,112명)이며, 검진 당시 대사증후군이 있거나,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결측), 이상치 결과가 나온 사람은 제외됐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시점을 기준으로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기까지 걸린 기간은 남성 평균 2.8년, 여성은 평균 3.1년이었다.

참여자 8만 8,000여 명에 대한 데이터에서 연령, 성, 비만도, 음주, 운동을 통제하고, 흡연 상태를 ▲비흡연자 ▲과거 흡연자 ▲현재 흡연자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 비흡연자보다 현재 흡연자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1.37배가 높았다.

현재흡연자 중 더 많이, 오랜 기간 피울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상승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발생할 위험도 비흡연자 대비 0~3갑년 미만 흡연군이 1.32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비흡연자 대비 20갑년 이상을 피운 경우 복부비만 위험이 1.34배 높았다. 여성은 비흡연자 대비 6갑년 이상을 피운 경우 복부비만 위험이 1.84배 높았다. 갑년(pack-year)은 하루 흡연량(개비)을 20(한 갑)으로 나누고, 흡연 기간(년)을 곱한 지표이다.

연구를 이끈 지선하 교수와 김정훈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전향적 코호트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대사증후군, 나아가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금연이 필수적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