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좁은’ 사무실에 직원은 ‘가득’…“정부, 현장 모르는 조치”
수도권 전면 재택근무는 ‘아직’…“대구 사태와 달라” 우려
정부 지침과 현장 '괴리'…직원 감염 시 회사 생존과 ‘직결’

일부 중소제약바이오기업 사이에서 정부를 향한 불만의 목소리가 새어 나오고 있다. 직원 한 명이 아쉬운 상황에서 정부의 지침을 어디까지 따를지 고민이기 때문이다. 제약산업 현장과 보건당국의 방역 가이드라인 간 괴리가 크다는 지적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1월 26일과 27일 이틀에 걸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하루 평균 500명대를 넘어섰다. 대구 신천지 사태 초기였던 올해 3월 6일 518명이 나온 이후 265일만의 일이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지금의 조치가 지난 1, 2차 유행 당시의 2단계 보다 현저히 완화된 수준이라는 점이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정상적으로 출근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우려하고 있는 배경이다.

이는 제약바이오기업 역시 마찬가지다.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은 정상근무를 하거나 개편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따르면서 최대 30%만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중견제약사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초기부터 영업직은 현장이나 거래처 상황에 따라 재택근무를 유연하게 운용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본사는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정상근무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라고 말했다.

국내 상위제약사 관계자도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출·퇴근이 2단계에 준해 운영되고 있다”며 “본사와 연구소는 현재 30% 수준에서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중소제약사의 경우다. 기업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 중견기업이 아닌 이상 현재의 정부 지침(2단계 유지)을 마냥 따르기에는 상당한 리스크를 안고 가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소제약사의 경우, 앞서의 기업들 보다 규모가 작은 만큼 좁은 사무실에 직원 밀집도가 더 높은 상황이다.

더욱이 직원 한 명이 아쉬운 상황에서 이탈자가 한 명이라도 발생할 경우 그 여파는 도미노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중소제약업계의 전언이다.

그렇다고 다른 제약사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나홀로 전면 재택근무를 할 수도 없는 상황인 것.

익명을 요구한 중소제약사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 맞춰 30%만 재택근무를 하고 있지만 회사에 들어가 보면 여전히 직원 밀집도가 높은 상황이다”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면으로 확대할 수 없는 것은 타 제약사와의 형평성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에서 직원 한 명이 감염될 경우 전 직원 감염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실상 현장과의 괴리가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히 이번 3차 유행은 수도권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이뤄진 만큼 지난 대구 사태 때와는 차원이 다르다”며 “그런데도 오히려 사회적 거리두기는 기존 2단계 보다 완화된 조치를 유지하고 있어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