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타깃 외국계IB 공격, 오히려 상승세 패턴 ‘악수’
수년째 매도 리포트와 후려친 목표가…“공매도 논란만 키울 것”

▲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외국계 투자은행들이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예고하고 있는 셀트리온에 잇따라 박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기대감이 과도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로 인해 최근 셀트리온의 주가가 제법 크게 출렁였지만 그 파급력은 제한적인 모양새다. 지난 수년간 지속돼 왔던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부정적 전망에도 주가는 꾸준히 우상향했던 것이 투자자들에게 학습되며 추가 하락을 막았다는 분석이다. 이들이 제시한 목표주가와는 별개로 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더 힘이 실리는 배경이다.

최근 20여일 동안 외국계 투자은행의 셀트리온 매도 리포트가 쏟아지고 있다. 실제로 JP모건을 필두로 크레디트스위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은 셀트리온의 주가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는 항체치료제에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며 목표주가를 13~21만원으로 제시했다. 14일 종가 기준 셀트리온의 주가가 35만원(35만7,500원)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강력 매도 의견을 낸 셈이다.

하지만 셀트리온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뜨겁다. 지난 7일 40만3,50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운 다음날 JP모건 보고서의 영향으로 13.26% 하락(35만원)했지만 다시 3거래일 연속 상승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셀트리온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얼마나 견고한지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셀트리온이 흔들림 없이 고공행진을 유지하는 데는 항체치료제뿐만 아니라 가파른 실적 성장세가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해 기록한 연간 최대 실적을 올해 3분기 만에 돌파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1위로 올라선 저력을 투자자들이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확대되면서 셀트리온의 핵심사업은 최근 몇 년간 순항을 거듭하고 있다. 여기에 유망한 차세대 캐시카우 발굴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항체치료제로 주가에 일부 거품이 껴 있더라도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배경이다.

여기에 수년간 지속돼 온 외국계 투자은행의 셀트리온 평가절하 리포트가 역설적이게도 셀트리온 투자 확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동안 리포트 발표 이후 며칠간 주가가 하락했지만 금세 상승세로 돌아서는 패턴이 반복되면서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고 있다는 것.

또 외국계 투자은행들이 셀트리온의 사업가치를 지나치게 낮게 책정하고 목표주가를 후려치는 방식도 리포트에 대한 신뢰감에 오히려 역효과를 준다는 지적이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2017년 모건스탠리(목표주가 8만원), 2018년 노무라증권(23만원), 도이치방크(8만7,200원), 골드만삭스(14만7,000원) 등은 당시 셀트리온의 주가보다 30~70% 낮은 목표주가를 내놨는데 이 예측들은 결과적으로 한참 빗나갔다.

이들은 당시 셀트리온을 저평가한 이유로 한결같이 글로벌 시장 점유율 목표 비현실적, 이익률의 가파른 감소, 밸류에이션(평가가치) 과도 등을 내세웠다.

하지만, 셀트리온은 실적으로 이들을 머쓱하게 만들었다. 이 회사의 연매출액은 2017년 9,491억원, 2018년 9,821억원, 2019년 1조1,285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올해는 3분기만에 1조3,504억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2017년 5,078억원에서 2018년 3,387억원, 2019년 3,781억원으로 다소 주춤했지만 올해는 3분기까지 5,474억원을 기록, 다시 5,000억원 고지를 재탈환 했다.

제약바이오에 정통한 국내 증시 전문가는 “2018년 초 37만원대를 넘어섰던 셀트리온의 주가가 2년 6개월 이상 긴 조정기를 거쳐 다시 그 자리에 올라설 수 있었던 것은 주력사업의 선전이 밑바탕에 깔려 있던 것”이라며 “주력사업의 호조세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항체치료제 개발 기대감이 주가에 과도하게 반영됐다는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시각은 지나치게 협소한 감이 없지 않다. 특히 이를 토대로 현 주가와 괴리감이 큰 목표주가를 제시했는데 이는 지난 수년간 제기돼 온 공매도 논란만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