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뇌졸중 14%·심부전 8%·사망 39% 하락"

▲ 자료 제공=서울대병원
▲ 자료 제공=서울대병원

심방세동 진단 후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심부전 및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팀(이소령 교수, 안효정 전임의)과 숭실대 한경도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심방세동 환자의 운동습관과 뇌졸중·심부전·사망 발생 위험도를 연구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2016년 새로 진단받은 심방세동 환자 6만6,692명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습관 변화에 따라 ▲지속적 비운동자(30.5%) ▲신규 운동자(17.8%) ▲운동 중단자(17.4%) ▲운동 유지자(34.2%) 4그룹으로 나눠 비교했다. 이후 약 4년간 이들의 뇌졸중, 심부전 및 사망 발생률을 추적했다.

그 결과, 신규 운동자 그룹과 운동 유지자 그룹은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보다 심부전 위험이 각각 5%, 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방세동 진단 전후에 언제라도 운동을 하는 것은 지속해서 운동을 하지 않는 것에 비해 사망 위험이 17~39% 낮았다. 운동 중단자는 17%, 신규 운동자는 18%, 운동 유지자는 39% 순이었다. 뇌졸중의 경우, 운동자 그룹에서 10~14% 위험도 감소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심방세동 환자를 위한 최적의 운동 종류와 강도에 대해서도 제시했다.

중등도 강도 운동인 빠르게 걷기, 보통 속도로 자전거 타기, 엎드려 걸레질하기 등을 1주일에 170~240분 하거나 고강도 운동인 달리기, 에어로빅, 등산 등을 1주일에 140~210분 할 경우 심혈관계 질환 및 사망 위험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과 심혈관계 질환 및 사망과 같은 중요한 임상 결과와의 연관성을 살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최의근 교수는 “심방세동을 새롭게 진단받은 환자들에게 심박 수가 빨라질 수 있는 운동이 해롭지 않다는 것을 확실하게 말할 수 있게 됐다"며 "심방세동 환자가 운동을 시작하거나 지속하도록 권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 플로스 메디슨(PLOS Medicine)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