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회, 24일 신년 간담회서 정부에 3대 건의안 제시
"정부의 과감한 육성 지원책 시급…제약바이오강국 실현 전제조건"

▲ 사진 설명=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24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키메시지를 전하고 있다(사진 제공=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사진 설명=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24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키메시지를 전하고 있다(사진 제공=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제약바이오강국 실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정부의 과감한 육성·지원 정책을 재차 강조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24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대통령 직속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 ▲정부 R&D 지원 예산 확충 ▲백신주권·제약주권 확립을 위한 전방위적인 종합 지원 대책 마련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원 회장은 “산업육성 정책과 재정, 규제가 다부처로 분산돼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기초연구·임상시험·글로벌 진출까지 전주기 관리 주체도 부재하다”며 “이견 발생 시 부처간 칸막이 현상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연구개발·정책금융·세제 지원·규제개선·인력양성 등을 포괄하는 제약바이오산업의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각 부처 정책을 총괄 및 효과적으로 조율하는 대통령 직속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 신약 개발을 위한 심사 인력이 선진국의 보건의료 규제기관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도 짚었다. 신약 개발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 개발 초기부터 전임상, 임상 자문 및 허가심사를 위한 인력이 대폭 확충돼야 한다는 것.

실제로 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국 심사 인력은 8,051명인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228명으로 1/10에도 못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원 회장은 “해외 시장 개척은 도전이자 기회”라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유럽 등 선진 제약바이오 생태계에 진출하는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대륙별 현지 수요 맞춤형 G2G 지원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 회장은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확충도 당부했다. 도전 지향적인 산업 지형이 중요한데 현재 우리나라는 블록버스터급 약물 개발을 완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원 회장은 “정부 주도의 메가펀드(5조원대)를 조성해 혁신적 파이프라인과 후기 임상에 집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며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리딩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국가적 M&A 지원 전략을 즉시 수립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신주권·제약주권 확립을 위한 전방위적인 종합 대책 마련도 요청했다.

원 회장은 “국내 기업의 자체 백신 개발을 동반하지 않는 백신 허브 구축은 위탁생산 기지화에 불과하다”며 “한국이 진정한 글로벌 백신 허브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위탁생산과 독자개발 2가지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1조 원 대 백신 바이오펀드 조기 조성과 개발 동기 강화를 위한 백신 가격 현실화를 제안했다.

원희목 회장은 2010년대 중반까지 20~30%를 유지하던 원료의약품 자급률이 최근 16.2%(2019년)까지 하락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원 회장은 “원료의약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국내 의약품 공급망은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다”며 “국산 원료 및 필수의약품의 자급률 제고를 위해 기술개발, 허가, 생산설비, 약가, 유통, 사용 등의 종합 지원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