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씨엘, 매출 4천만원 불과 2년 만 460억원…1150배 '급증'
씨젠・수젠텍・휴마시스・지노믹트리 등 매출액 10배 ↑
수요 급감 예상했지만…변이 등장・방역 정책 변화로 반전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코로나19 2년 만에 진단키트 기업의 위상이 달라졌다. 한 해 매출액이 700억 원에 불과하던 회사가 코로나19 대유행 사태 이후 진단키트 판매에 힘입어 3조 원의 매출을 올리며 상위 제약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것이다. 당초 백신 접종 후 진단키트 수요가 급감해 단기 실적에 불과할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연이은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과 방역 정책 변화로 매출 증가가 지속됐다는 평가다.

7일 <메디코파마뉴스>는 올해 잠정 실적을 발표한 진단키트 판매 기업 8곳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2019년 사업보고서와 비교, 변동 현황을 분석했다.

먼저 진단키트 최대 수혜주로 손꼽히는 에스디바이오센서와 씨젠은 코로나19 사태 2년 만에 국내 상위 제약사와 어깨를 견줄만한 실적을 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전인 2019년 매출액이 730억 원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2조9,300억 원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2년 동안 무려 40배 증가한 것이다.

특히, 이 회사의 이 같은 성적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유일하게 2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업계 1위 실적을 기록했다.

바이오업계의 쌍두마차인 셀트리온 1조8,900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1조5,700억 원)의 매출액과 비교해도 1조 원 이상의 차이를 보인 것이다.

무엇보다 이 회사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5억 원에서 1조3,700억 원으로 913배 껑충 뛰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부터 스탠다드M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STANDARD M n-CoV Real-Time Detection Kit)가 국내에서 긴급사용승인을 받으며 국내 시장은 선점한데다 세계 처음으로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사용목록에 코로나19 항원 진단키트를 등재돼 글로벌 시장까지 먼저 점유하면서 이 같은 성과를 낸 것이다.

 

씨젠도 만만치 않다. 이 회사의 2019년 매출액은 1,220억 원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1조 3,710억 원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2년 동안 11배 증가한 것이다.

특히, 이 회사의 이 같은 성적은 국내 상위 제약사인 대웅제약(1조1,530억 원), 종근당(1조3,436억 원), 한미약품(1조2,061억 원)과도 맞먹고 있다.

무엇보다 씨젠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24억 원에서 6,667억 원으로 30배 폭증했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초기부터 진단시약인 ‘올플렉스(Allplex)TM 2019-nCoV Assay’를 개발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긴급사용 승인을 받으면서 진단키트 시장을 선점한데 따른 결과인 셈이다.

진단키트 기업 중 가장 드라마틱한 효과를 보인 곳은 피씨엘이다. 2019년 이 회사의 매출액은 3,600만 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2년 만에 455억 원의 판매고를 올렸다. 무려 1,150배가 뛴 셈이다.

휴마시스와 수젠텍은 외형 뿐만 아니라 수익성에서도 크게 성장했다.

휴마시스는 2019년 92억 원에서 2021년 3,218억 원으로 35배가 늘어났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9억 원, -12억 원에서 1,928억 원, 1,499억 원으로 흑자 전환을 이뤄냈다.

수젠텍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8억 원에서 772억 원으로 20배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71억 원, -96억 원에서 346억 원, 346억 원으로 흑자로 전환했다.

랩지노믹스와 파미셀은 외형 보다 수익성이 크게 성장했다.

2019년 332억 원 수준이었던 랩지노믹스의 매출은 2년 만에 2,024억 원으로 6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11억 원, 10억 원에서 1,049억 원, 862억 원으로 폭증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각각 95배, 86배 늘어난 셈이다.

파미셀도 매출액은 325억 원에서 509억 원으로 56.68% 확대된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20억 원, 43억 원에서 82억 원, 101억 원으로 증가했다. 각각 316.37%, 131.84% 증가한 것이다.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 잇따른 변이 바이러스 출현에 방역 정책 변화가 매출 성장 이끌어내

당초 진단키트 기업의 실적은 일회성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면서 예방효과로 인해 진단키트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 같은 예측은 빗나갔다. 지난해 2월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에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졌지만 신종 감염병 확산세를 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방역당국은 지난해 4월 코로나19 자가검사가 가능한 항원 방식 자가검사키트 제품 2종을 조건부 품목허가 하고, 5월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허용했다.

여기에 더해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등장으로 확진자 수가 폭발하면서 진단키트 수요는 급증했다.

실제로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항원·항체 신속 진단 키트는 4억4,818만 달러(약 5,300억 원) 수출돼 같은 해 10월 2억1,216만 달러(약 2,500억 원)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두 달 만에 두 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분자진단 키트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1월 1억8,399만 달러(2,100억 원)였던 수출액이 12월에는 2억4,915만 달러(약 2,900억 원)로 35.4% 늘어났다.

이 같은 실적에 힘입어 국내 기업의 진단키트 수출액은 2021년 20억4,667만 달러(약 2조4,400억 원)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6% 감소한 수치지만 당초 전망과는 크게 빗겨간 모습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방역 체계가 다시 한 번 개편됐다.

2월 3일부터 60세 이상 고령자거나 밀접접촉자, 의사 소견서를 가진 고위험군만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일반 유증상자들은 개인용 자가진단키트를 이용해 신속항원검사를 받게 된다. 자가진단키트를 이용한 검사에서 ‘양성’이 나와야지만 PCR 검사를 받고, 확진 여부를 최종 판정받을 수 있게 됐다.

코로나19 표준 진단법은 PCR 검사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고 의료체계 과부하를 막기 위해 자가진단키트를 도입하기로 했다는 것이 방역당국의 입장이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3월 1일부터 확진자의 미접종 동거인의 의무 자가격리를 해제한데다 방역패스를 폐지했으며, 3월 5일부터 영업시간을 11시까지 늘리는 등 방역을 대폭 완화했다.

또한, 2월 28일부터는 보건소에서의 PCR 검사 음성 확인서 발급을 중지하고, 고위험군 집중 관리로 전환했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로 국내 수요까지 급등하고 있는 모양새다. 개당 2,000~3,000원이던 자가진단키트 가격이 1만 원대로 폭등한 것이다.

결국 정부는 개당 6,000원, 1회당 5개 구입으로 통제에 나섰지만 여전히 진단키트 구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문제는 앞으로 1일 확진자 수가 30만 명 이상 쏟아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진단키트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익명을 요구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초기만 하더라도 진단키트 사업은 반짝하고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였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감염자 수가 크게 줄어들어 자연히 진단키트 수요도 감소할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며 “하지만 변이 바이러스 등장으로 잠시 주춤하던 수출량이 다시 급증하게 됐고 이는 고스란히 진단키트 기업의 실적으로 반영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미크론 변이가 지배종이 되면서 국내 방역 정책도 ‘先 자가진단, 後 PCR 검사’로 전환함에 따라 자가진단키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당분간 코로나19 유행 확산세가 지속되는 만큼 진단키트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