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유행에 물량 품귀 현상 지속…올해 시장 규모 확대 유력
엔데믹 전환 가속화에 블루오션 부상…달궈지는 신제품 개발 동력
리딩 품목 충성도 여전하지만…“시장 격변에 후발주자 기회 생겼다”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제공

최근 감기약이 가정 내 필수 상비약으로 부각되면서 한동안 뜸했던 제형 다변화 경쟁이 재점화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를 계기로 엔데믹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그동안 정체돼 있던 국내 감기약 시장의 외형이 대폭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 대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그간의 평가를 뒤로하고, 업체들이 신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국내 감기약 시장이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일대 전환점을 맞고 있다. 확진자 급증과 재택치료 확대 등으로 상비약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유례없는 호황을 맞고 있어서다. 리딩 품목은 갈수록 품귀 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그동안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한 후발 제품의 판매량도 크게 늘고 있어 올해 전체 시장 규모는 예년 수준을 크게 뛰어넘을 것이란 분석이다.

증권가에서는 지난 몇 년간 1,300억 원~1,400억 원에 머물러 있던 국내 감기약 시장 규모가 올해 40% 이상 성장하며 2,000억 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재택치료를 대비한 가정 내 비축 수요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향후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되기보다는 풍토병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내 감기약 시장의 성장세가 올해 반짝 일회성으로 끝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에도 점차 힘이 실리고 있다.

상황이 이런 만큼 일각에서는 한동안 잠잠했던 제약사들의 감기약 신제품 개발 경쟁이 다시 불붙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동안은 전체 시장 규모가 정체돼 있어 투자에 소극적이었지만 지금과 같은 분위기가 유지된다면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

특히 제품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소비자의 니즈를 공략하기 위한 제형 다변화 경쟁이 다시 재점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재 물량이 부족해 사실상 모든 제품이 전반적으로 잘 팔리고 있기는 하지만 연령, 기호 등에 따라 선호하는 제형이 갈리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사실 그동안 제약사의 감기약 제형 개발 경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결과가 좋지 못했다.

실제로 지난 2009년 등장한 노바티스의 차 타입 건조시럽제 ‘테라플루’가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자 삼성제약, 한미약품, 종근당 등이 야심차게 후발주자로 나섰지만 고전을 거듭하며 결국 철수를 결정했다.

또 지난 2015년 대원제약이 국내 최초로 스틱형 파우치 형태인 콜대원을 내놓으며 큰 인기를 끌자 동아제약, GC녹십자, 일동제약, 동화약품, 한미약품 등이 잇따라 같은 제형의 신제품을 내놨지만 눈에 띄는 성과를 올리지는 못했다.

그러나 일선 현장에서는 예전과 지금의 시장 상황은 다르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브랜드 인지도가 소비자의 구매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최근 물량 부족이 장기화되면서 대체제에 대한 거부감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것. 즉 후발주자들에게 높아만 보였던 감기약 시장의 진입 허들이 오미크론 유행을 계기로 낮아졌다는 얘기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감기약 리딩 품목의 충성도는 여전하지만 최근 수요가 폭증하면서 그간 관심을 받지 못하던 후발 제품들이 많이 팔리고 있고, 인지도도 빠르게 높여가고 있다”면서 “과거에는 시장의 성장성이 낮아 신제품 개발에 대한 투자 대비 효율성이 떨어졌지만 전체 외형이 커지면 얘기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엔데믹 시대 도래가 유력한 상황이라 제약사들이 확대된 시장 파이를 선점하기 위한 제품 개발에 나설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특히 제형에 따른 제품 선호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만큼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신제품 경쟁이 다시 재점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