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요구 반영한 지원책 윤곽…“현실화 위한 절차 시간 필요”
7차 대유행 속 확진자 급증 가능성↑…물량부족 불가피할 듯

▲ 유토이미지 사진 제공

[메디코파마뉴스=이효인 기자] 코로나19 7차 대유행이 공식화되면서 감기약 공급 부족 우려가 다시금 커지고 있다. 현재 정부가 증산을 위한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생산 업체들이 이를 체감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관측이다. 단기간에 확진자가 급증할 경우 감기약 대란이 다시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까닭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9일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4주째 증가세를 보이고, 감염재생산지수도 3주 연속 1을 상회하고 있어 현재 7차 재유행이 시작됐다는 것에 이견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일주일간 발생한 하루 평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4만2,476명으로 전주 대비 27.5% 증가했다. 이에 비례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직전주 대비 각각 40명, 69명 늘어난 281명, 225명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런 만큼 정부는 코로나19를 치료하는 대증 요법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감기약의 수급 불안을 차단하고자 지원책 마련에 분주한 모양새다.

그간 업계에서 줄기차게 요구해 왔던 사용량 약가 연동제 제외와 약제 가격 인상 등의 카드를 제시하며 생산량 증대를 독려하고 있는 것인데 생산 업체들의 반응 역시 전반적으로 나쁘지 않다.

다만 당장 단기간에 확진자가 급증하면 이번 7차 대유행 속에서도 감기약 수급 불안은 불가피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정부가 생산량 증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동기 부여 요소가 확실한 지원책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본격적으로 현장에 적용되기까지는 아직 관련 절차들이 남아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현재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보건복지부는 올해 12월을 목표로 약값 인상 수위를 결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약 한 달 반 동안은 감기약 생산량이 지금 수준에서 대폭 확대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배경이다.

특히 업계가 품귀 현상이 뚜렷한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 650㎎의 약값을 기존 50원에서 최대 200원 수준까지 인상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어 정부가 이를 수용할지도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부가 실질적인 감기약 수급 안정화 대책을 너무 뒤늦게 내놓은 것 아니냐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생산량 증대의 키를 쥐고 있는 업계의 목소리를 올해 초부터 적극적으로 수렴해 논의를 진행했더라면 지금과 같은 급박한 상황은 피할 수 있었다는 지적인 것.

제약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뒤늦게라도 업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지원책을 준비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라면서도 “다만 실질적으로 감기약 생산량 확대가 이뤄질 정도로 업체의 요구 사항이 수용될 수 있을지 아직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련 절차를 진행하는 데 있어 시간도 필요한 만큼 7차 대유행 속에서 신규 확진자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급증한다면 물량 수급 불안은 반복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