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가 차원 법 제정 및 전략 수립
美, 자국 내 바이오 제조 역량 강화 전략적 추진
EU,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전략 수립…회원국 간 협력 지원
日, 바이오 등 9대 시장영역 선정…의료분야 사업화까지 지원
中, 바이오의약 등 4대 중점 발전 분야 선정…산업 발전 추진

▲ 유토이미지 사진 제공
▲ 유토이미지 사진 제공

[메디코파마뉴스=박애자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이 확산되면서 세계 각국에서 바이오 패권을 쥐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생명공학연구센터에서 발간한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에 따르면 세계 주요국들이 도래하는 바이오경제시대의 패권을 잡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법을 제정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바이오가 경제 발전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한 수단에 그치지 않고 국민의 건강과 생존을 지키는 방패이며, 나아가 국가 방위, 국가안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향후 10년 내 바이오경제 시장이 약 30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관련 산업을 선점하기 위한 기술 리더십 확보와 자국 내 제조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지난 2020년 미국과학공학의학한림원(NASEM), 지난해 대통령과학기술자문회의(PCAST) 등 싱크탱크들이 미국이 바이오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정책들을 제안하고, 의회에서 초당적으로 관련 지원 법률들을 발의하고 제정하고 있는 것.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은 초당적으로 지난 2021년 미국 혁신 및 경쟁법과 지난해 반도체 칩 및 과학법을 제정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바이오 혁신을 촉진하고 의료, 농업, 에너지 등 다양한 부문에서 경제성장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생명공학ㆍ바이오제조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행정명령은 핵심기술 리더십 유지, 자국 내 바이오 제조 역량 강화, 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난 2012년 발표된 국가 바이오경제 청사진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부재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이번 행정명령은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계획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즉, 향후 5년간 바이오제조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20억 달러를 신규 투자하는 계획과 함께 각 부처별 추진계획도 발표했다.

또한 백악관 안보보좌관에게 경제보좌관과 과학기술정책국장과 협의하여 개별 연방부처의 활동을 총괄 조정하는 기능을 부여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16년부터 주도해 해 온 암정복(Cancer Moonshot) 이니셔티브의 목표를 지난해 3월에 수정해 향후 25년간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의회에 관련 사업의 지원기간 연장과 예산 확대를 요청하기도 했다.

유럽연합(EU)은 2018년에 지속가능한 유럽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Horizon Europe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국 간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바이오경제를 유럽 그린 딜 구현과 지역적 다양성 강화를 위한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개발은 세계 최대의 다국적 연구사업인 Horizon Europe(2021-2027)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된다.

기존 프로그램들과의 차이는 암 등 5개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하고, 연구 혁신을 통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암 분야에는 2021년부터 3년 동안 3억7,820만 유로가 투입될 예정이다.

Horizon Europe에는 7년 동안 총 955억 유로가 투입될 예정이다.

바이오 분야는 주로 Pillar 2(글로벌 도전과 산업 경쟁력)에 포함돼 있으며, 헬스와 식량ㆍ바이오경제에 각각 82억 유로, 90억 유로가 지원될 계획이다. 올해 예산은 각각 3억4,000만 달러, 10억4,000만 달러가 배정됐다.

Horizon Europe은 2020년부터 100만 명 이상의 유전체 정보와 관련 임상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기 위한 백만병 유전체 이니셔티브(1+Million Genomes Initiative, 1+MG)를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24개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고, 데이터는 유럽바이오뱅킹자원센터(BBMRI)와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EMBL) 등 2개 인프라 기관이 주관한다.

유럽집행위원회는 EU 회원국 전역에서 건강 데이터를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통합 건강 데이터베이스(European Health Data Space)를 추진하고 있다.

두 가지 프로젝트(MyHealth@EU, HealthData@EU)를 통해 진행 중인데 MyHealth@EU는 전체 회원국 내 환자와 전문의 간 건강 데이터 교환에 초점을 두고 있다. 모든 회원국민이 해외여행을 하던 거주를 하던 간에 본국에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헬스케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부 서비스는 이미 제공 중이며, 나머지 서비스들은 2025년까지 이루어질 예정이다.

HealthData@EU는 데이터의 2차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각국에 설립될 담당 기구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연구자, 정책입안자, 기업들이 환자의 의료기록을 이용하고 연구할 수 있게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유럽집행위원회는 EU가 지금까지 추진한 프로젝트 중 가장 야심찬 프로젝트 중 하나로 헬스케어에 대변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럽집행위원회는 지난 1월에 데이터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암 치료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유럽 암 이미징 이니셔티브도 개시했다.

EU 전역의 암 영상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EU 및 국별 사업에 연계시킴으로써 병원, 연구기관, 기업에서 활용함으로써 질병치료를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럽집행위원회는 오는 12월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협업 메커니즘을 확립할 계획이다.

≫ 亞 대표 日・中도 바이오 패권 경쟁에 나서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바이오 패권 경쟁에 나서고 있다.

일본은 2030년 세계 최첨단 바이오경제사회 실현을 목표로 2019년 6월에 바이오전략2019를 수립했다.

이후 지난 2020년 6월에 코로나19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경제를 회복시키는데 바이오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 하에 환경변화를 반영해 개정판인 바이오전략2020(기반정책)을, 2021년 1월에는 구체적 추진 방안을 담은 바이오전략2020(시장분야 정책 확정판)을 수립해 발표했다.

일본은 바이오전략2020을 통해 바이오ㆍ재생의료ㆍ세포ㆍ유전자치료 등 9대 시장영역을 선정하고, 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통해 의료분야의 기초연구에서 사업화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이어 2021년 3월에 수립한 제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2021~2025)에서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생명공학, 건강ㆍ의료, AI, 환경ㆍ에너지, 식품ㆍ농림수산 등 범부처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추진방향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세계적인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5월 중요 물자의 안정적 공급 확보, 첨단 특정중요기술 개발 지원 등을 위한 경제안전보장법이 가결됐다. 이 법은 바이오 등 20개 중요기술에 대해 총 5,000억 엔의 경제안보기금을 마련해 연구를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일류 강국으로 부상하기 위한 ‘중국몽(中國夢)’ 실현의 핵심동력이 과학기술력이라고 인식하고 첨단기술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지난 2021년 3월 개최된 양회에서 국민경제사회발전 제14차 5개년 규획(2021~2025)과 2035년 비전목표강요를 발표했다.

이 규획에서 미국의 강력한 기술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혁신을 최우선 전략과제로 선정하고, 장기적 육성이 필요한 7대 기술(뇌과학, 유전자・바이오, 임상의학ㆍ헬스케어 등)과 8대 산업(첨단의료기기ㆍ신약, 신소재 등)을 제시했다.

이어 지난해 5월에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중국 정부로서는 처음으로 바이오 분야 중장기 계획인 바이오경제 14・5규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규획에 따르면 중국은 2025년까지 바이오 기술과 바이오산업 발전을 가속화하고 바이오안보 위험 관리체계 구축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바이오경제 총량 규모 확대, 바이오산업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강화, 고부가가치 특허 수 증대, 핵심기술의 획기적인 진전 등을 강조하고 있고 바이오산업 공급망을 더욱 안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생물안전을 국가 안보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2020년 10월에 생물안전법이 제정됐다. 이 법률은 생물보안 인프라의 대폭 확충, 생물안전 과학 연구 및 생산 지원의 역량 향상 등을 규정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