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육성 컨트롤타워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신속한 가동 요청
급변하는 R&D 생태계와 커져가는 디지털 영향력…“우리에게는 기회”

▲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메디코파마뉴스=이효인 기자]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첫 기자간담회에서 꼽은 핵심 키워드는 ‘성과’였다. 민·관의 유기적인 협조·지원 체계를 더 공고히 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가시적인 결과물이 나올 수 있도록 회무 방향타를 잡겠다는 것이다. 특히 새롭게 구축될 범정부 거버넌스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지원·육성책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협회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지난 29일 취임 후 첫 공식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산업이 정부의 목표대로 2027년 글로벌 6대 강국으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육성·지원책이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국무총리 직속 디지털·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이하 위원회)의 빠른 가동을 정부에 강력하게 요청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

이처럼 노 회장이 위원회의 신속한 가동과 더불어 향후 역할에 큰 기대를 내비치고 있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간 없었던 범정부 거버넌스인 데다 제약바이오를 국가 기간 산업으로 키우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는 상징으로 받아들이고 때문이다.

노 회장은 “그간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지원책을 내놨는데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차별성을 찾아볼 수 없었던 게 일정 부분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번 정부의 육성·지원책에 기대를 걸고, 실행 가능할 것으로 보는 이유는 거버넌스를 바꿨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정부 부처 별로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지원을 해 왔지만 방식이 상이한 데다 연계성이 떨어져 효율성이나 성과 측면에 있어서 아쉬운 면이 있었다”며 “물론 각 부처마다 임무와 미션이 별도로 있고, 이에 충실해야 하는 만큼 이것이 잘못됐다고 보지는 않는다. 오히려 분야도 다르고 선의의 경쟁을 통해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결과를 보면 후한 성적을 주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지원·육성에 있어 전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 조정하고, 유도하고, 끌고 나갈 수 있는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했다”며 “그런데 이번 정부가 위원회 설치로 변화를 주지 않았나. 굉장히 의미가 있다고 본다. 다만 과거 정책들처럼 선언적 의미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위원회의 빠른 가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 회장은 또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연구·개발 역량과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면서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갈 수 있는 기초 체력이 예전처럼 선진국에 크게 밀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과거 신약은 합성의약품 중심이었고, 이 부분은 선진국과 상당한 격차가 있었던 만큼 따라잡기가 쉽지 않았지만 최근 바이오의약품으로 신약 연구개발 생태계가 급변하면서 우리에게도 기회가 있다는 것.

노 회장은 “최근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경쟁력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며 “특히 우리나라의 디지털 분야 역량이 세계 최고 수준인데 이를 잘 융합하면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는 현장의 자신감이 상당하다. 저도 전적으로 동의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전 세계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방대한 국민건강 관련 빅데이터를 국가 차원에서 확보하고 있는 점도 향후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무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노 회장은 “우리나라는 심평원, 건보공단 등이 국민건강과 관련된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분이 신약 R&D에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면 지금과 전혀 다른 연구·개발 생태계가 조성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때문에 개인정보를 철저하게 보호하면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가 적극 강구해야 한다. 협회도 이러한 부분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준비를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자본 능력이 열악한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정부의 자금 지원 기조 변화로 일부 숨통이 트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노 회장은 “신약은 연구개발 비용이 굉장히 중요한데 그동안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축적해 온 자본 능력은 충분치 않았다”며 “그런데 이번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방법을 혁신하겠다고 한다. 이전과는 상당한 차별성이 있는 점이다. 만약 이 계획대로 잘 진행된다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퀀텀점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그동안 정부가 너무 잘게 쪼개 자금을 분배하면서 지원 규모 대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

노 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은 100이 필요한데 50만 주면 50% 성과가 나는 게 아니라 어느 것도 얻을 수 없는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며 “미국은 처음부터 성과를 중심으로 해서 자원을 배분하고 지원하는 체계로 알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이 우리에게 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