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개 지방의료원 경영 현황 분석 발표
의료손실 1조5,737억원, 보상금 1조5,598억원 지급…139억원 부족
의료손실 회복 3년 이상 소요 예상…정부 지원은 최대 12개월에 불과
2024년 정부 예산에 공공병원 회복기 예산 반영 주장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지난 13일 보건의료노조 생명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사진 제공=보건의료노조)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지난 13일 보건의료노조 생명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사진 제공=보건의료노조)

[메디코파마뉴스=박애자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담병원’으로 최전선에서 싸운 지방의료원의 경영난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입은 의료 손실보다 정부 지원금이 턱없이 부족해 페원 위기에 처한 것이다.

이에 보건의료단체는 2024년 정부 예산에 공공병원 회복기 예산을 반영하는 등 정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지난 13일 보건의료노조 생명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활동했던 35개 지방의료원 결산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하며 이 같이 주장했다.

분석 결과 지난 2020년부터 2023년 3월까지 35개 의료기관에 발생한 의료손실액은 총 1조5,737억 원에 달했지만 같은 기간 지급된 코로나19 손실보상금은 1조5,598억 원으로 138억6,000만 원의 차액이 발생했다.

실제 지원된 손실보상금이 3년간 발생한 손실을 메우기에 역부족했던 셈이다.

특히 ▲서울의료원 ▲인천의료원 ▲경기도의료원 의정부·포천병원 ▲성남시의료원 ▲영월의료원 ▲삼척의료원 ▲남원의료원 ▲진안군의료원 ▲울진군의료원 ▲서귀포의료원 등12곳은 의료손실을 손실보상금으로 모두 충당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방의료원 재무제표, 의료수익명세서, 보조금명세서를 분석한 결과 35개 지방의료원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기까지 발생하는 의료 손실액을 1조1,243억 원으로 추계했다. 또 향후 평균 3.17년 동안 의료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보건의료노조는 현재까지 지급된 손실보상금 잔액과 장례식장 운영 등 의료원의 평균 의료 외 이익을 고려했을 때 향후 회복기간 동안 2,000억 원 이상의 금액을 투입해야 의료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감염병 전담병원 역할을 수행했던 대부분의 지방의료원들이 극심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팬데믹 장기화로 감염병 외 다른 질환 진료과에 대한 숙련도가 떨어지고 운영시스템 악화 등 회복을 더디게 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지방의료원을 포함한 공공병원의 병상가동률은 48.5%로 코로나19 발생 직전(2019년 12월·78.5%)보다 30%p 줄어들었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가 회복기 손실보상금을 지급했지만 지급 대상 기간이 전담병원은 최대 6개월, 거점전담병원은 최대 1년까지로 경영난에 허덕이는 지방의료원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보건의료노조는 정부를 향해 ▲공공의료를 강화하고 공공병원의 공익적 비용 및 회복기 지원 확대 ▲공공병원의 회복기 지원을 위한 필요 예산 2024년 정부 예산에 반영 ▲공공의료 기능강화 위한 의료진 확충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나순자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지난 6월 11일을 기점으로 3년 4개월 간의 코로나19가 종식되고 모든 것이 일상 회복이 됐지만 전담병원들의 일상 회복은 요원하다. 의사 부족과 재정난으로 인해서 공공병원이 지금 붕괴 위기에 처해있지만 누구 하나 거들떠 보지도 않고 있”며 “코로나 영웅이라고 하더니 끝나고 나니 토사구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와 지자체는 좌고우면하지 말고 공공병원의 회복기 지원에 총력으로 나서야 한다”며 “만약 이러한 절실한 요구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담병원 조합원들은 보건의료노조 7월 총파업 투쟁의 최선두에 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코파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